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인중개사 부동산학개론147

상환비율, 잔금비율 상환비율=상환액/저당대부액 잔금비율=잔금액/저당대부액 잔금비율=연금의 현가계수(남은 기간)/연금의 현가계수(전체 기간) 상환비율+잔금비율=100%=1 상환비율=1-잔금비율 잔금비율=1-상환비율 t시점의 상환비율=1-(t시점의 미상환원금/원금총액) 미상환 대출잔액(미상환저당잔금)은 연금의 현가계수를 이용해서 계산한다. 미상환 저당잔금=부채서비스액(원금+이자=원리금)×연금의 현가계수(남은 기간) 미상환 저당잔금=저당대부액×저당상수(전체기간)×연금의 현가계수(남은 기간) 2021. 10. 20.
외부효과 생산측면, 소비측면 인근에 예쁜 꽃밭이 생김. (정의 외부효과) 생산 과정에서 정의 외부효과 생산은 개인이 드는 비용이 사회적으로 드는 비용보다 크다. 소비 과정에서 정의 외부효과 소비 과정에서 정의 외부효과는 개인에게 좋은 것보다 사회적으로 좋다. 인근에 소각장이 생김.(부의 외부효과) 생산 과정에서 부의 외부효과 소각장이 인근에 주는 피해로 사회적으로 드는 비용이 크다. 소비 과정에서 부의 외부효과 쓰레기 소각장 주인 개인에게만 좋다. 2021. 10. 16.
시장실패 요인 중 공공재 공공재 소비에는 서로 경쟁할 필요가 없다. =비경합성 공공재 소비에는 돈 안 낸 사람을 배제시킬 수 없다. =비배제성 공공재 공급을 사적 시장에 맡기면 과소생산된다. 2021. 10. 16.
시장실패의 원인 중 비용체감산업, 규모의 경제 비용체감산업이 존재하는 경우 시장실패가 일어난다. 비용체감산업은 규모의경제(대량 생산하게 되면 생산비가 절약된다.) 와 같은 내용이다. 독점, 과점 등이 일어날 수 있어 시장 실패가 일어난다. 2021. 10.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