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인중개사 부동산학개론147

호이트, 버제스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의 주거입지 차이 버제스의 동심원이론 주택지불능력이 낮은 저소득층은 고용기회가 많은 도심지역과 접근성이 양호한 지역에 주거입지를 선정하는 경향이 있다. 도시공간구조는 중전저고통. 중심업무지구, 전이지역(점이지역), 저소득층 주거지대, 고소득층 주거지대, 통근자 지대로 형성되어 간다. 저소득층 주거지가 고소득층 주거지보다 중심업무지구에 가깝다. 호이트의 선형이론 주택지불능력이 높은 고소득층은 주요 간선도로 인근에 주거입지를 선정하는 경향이 있다. 저소득층 주거지는 고소득층 주거지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2021. 10. 16.
고전학파, 신고전학파 지대관점 고전학파는 지대가 토지로부터 생산된 재화의 가격에 영향을 안 준다고 본다. 지대는 그냥 잉여이다. 생산비가 아니다. 토지와 자본을 구별하고 있다. 농작물 수요의 증가로 농작물 가격이 상승하고 덩달아 토지수요가 증가해서 지대도 상승한다. 반대로 신고전학파는 지대가 토지로부터 생산된 재화의 가격에 영향을 주는 생산비로 본다. 토지와 자본을 구별하지 않는다. 토지는 자본의 일부일 뿐이다. 2021. 10. 16.
입찰지대곡선의 기울기 1 토지사용량 당 한계교통비 2021. 10. 16.
원료지향형 입지, 시장지향형 입지 국지원료를 많이 사용하는 산업과 중량감소산업은 원료지향형 입지를 한다. 반대로 보편원료를 많이 사용하는 산업과 중량증가산업은 시장지향형 입지를 한다. 원료지수>1 원료지수=국지원료 무게÷완제품 무게 즉, 원료지향형 입지가 된다. 2021. 10.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