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고정금리 저당대부방법과 변동금리 저당대부 방법을 알아보자.
고정금리(고정이자율) | 변동금리(변동이자율) | |
차이점 | 대출 이자율이 고정이다. | 대출 이자율이 변동이 있다. |
이자율 변동 위험 | 이자율 변동 위험을 대출자가 부담한다. |
이자율 변동 위험을 차입자에게 전가시킨다. |
금리조정 주기 | 금리조정 주기를 짧게하여 이자율 변동 위험을 차입자에게 더 많이 전가시킨다. |
|
채무불이행 위험 | 채무불이행 위험이 고정금리 저당대부방법보다 커진다. |
|
대출 시점의 금리 가격 | 변동금리보다 높다. | 고정금리보다 낮다. |
시장금리>약정금리 =대출기관의 수익성 악화 |
인플레이션 등으로 시장금리(시장이자율)가 약정금리보다 높아지면, 대출기관의 수익성이 악화 된다. 차입자의 상환부담은 증가하지 않는다. |
대출기관의 수익성은 악화되지 않는다. |
고정금리 대출시 예상인플레이션보다 실제인플레이션이 높은 경우 금융기관의 이자수입은 감소하게 된다. 금융기관에 손해가 발생한다. |
||
금융기관은 조기 상환을 유도할 것이다. | ||
시장금리<약정금리 =차입자의 조기 상환 위험 |
시장금리가 약정금리보다 낮아지면, 고정금리대출 차입자에게 조기상환할 유인이 생긴다. |
|
변동금리=기준금리+가산금리 기준금리는 시장 상황이 변동하면서 기준금리도 변한다. 기준금리로 CD금리를 썼으나 지금은 코픽스지수를 쓴다. 가산금리는 대출 초기에 한 번 정해지면 중간에 안 변한다. |
조기상환: 저당기간 만기 이전에, 대출금을 갚는 것이다. 시장금리가 약정금리보다 낮아지는 경우 발생한다.
조기상환 위험: 시장금리가 약정금리보다 낮아지는 경우, 차입자가 저당기간 만기 이전에, 대출금을 갚게 되면서 발생하는 대출자의 위험이다.
채무불이행 위험: 차입자가 원금과 이자를 갚지 못해서 대출자가 부담하는 위험이다.
채무불이행 위험은 담보 가치의 하락, 차입자의 소득 감소로 인해 발생한다.
대출기관의 위험은 고정금리, 장기대출인 경우에 가장 크다. 반대로 대출기관의 위험은 변동금리, 단기대출인 경우에 가장 적다.
담보가치인정비율(대부비율, LTV)가 증가하면 대출기관의 대출 금리는 높아진다.
반응형
'공인중개사 부동산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리금균등, 원금균등 계산문제 (0) | 2021.05.31 |
---|---|
저당 상환 방법 3가지 (0) | 2021.05.31 |
부동산금융 개념 (0) | 2021.05.30 |
위험중립형 투자자 (0) | 2021.05.29 |
기대수익률과 요구수익률 관계 (0) | 2021.05.29 |
댓글